회사에서 이것때문에 정말 고생했던 정보입니다.^^
[문제점]
서버 이동 후, 웹페이지에서 한글이 깨지고, OCI 연결 옵션에서 인코딩을 넣어주면, 정상으로 나올 경우
* 단, 이 방법은 DB에는 정상적인 인코딩으로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 경우이다. 데이터가 깨져서 IMP 를 한 경우에는,
DB 언어를 재 설정 혹은, 데이터 변환이 필요하다.
[원인]
이는 DB에는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import되었지만, NLS_LANG이 US7ASCII 혹은 NULL 값으로 되어있는 경우
한글을 읽을 수 없기 때문이다. (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참조 사이트들을 참조하라. 노력하지 않는자 쓸모없다.ㅋㅋ)
[해결]
1. 아파치 stop
2. 시스템에 NLS_LANG 설정
export NLS_LANG=KOREAN_KOREA.KO16MSWIN949
=> /etc/profile 에 위의 내용을 추가하면 자동으로 적용 시킬수 있다.
3. 아파치 재실행
여기서 제일 중요한 내용은
아파치를 실행하는 user의 NLS_LANG 값을 지정해줘야된다는 것이다.
그 이유는 NLS_LANG이 적용되는 순서가
SESSION > CLIENT > SERVER
이기 때문이다.
[참조사이트들]
http://www.oracle.com/technology/global/kr/pub/columns/oracle_lns_1.html
'DB (Mysql, Oracle, Maria, ...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라클 DB데이터 삭제방법 (1) | 2018.01.18 |
---|---|
오라클 언어 변경 방법 (1) | 2013.02.13 |
갑자기!! 오라클 사용자 계정의 암호가 만기된 경우 (0) | 2010.10.17 |
Oracle Character set 변경 (1) | 2010.06.01 |
Oracle/PLSQL: To_Char Function (FM option) (0) | 2009.04.14 |